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송구영신, 중국 땅을 울린 한국 전통음악의 향연

‘다스름’ 실내악단은 2008년 12월에 유난히 공연이 많았다. 다른 공연 준비로 정신이 없었던 와중에 중국에서 ‘송년’, ‘신년’ 음악회까지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생활이 연주, 연주가 생활’인 ‘다스름’은 여성으로만 구성된 실내악단으로, 2005년부터 해외 공연을 해왔고, 중국은 이번이 세 번째 공연이었다.



12월 30일, 가족 같은 편안함이 객석을 가득 메운 상해 한국문화원 공연
상해 한국문화원은 2008년 7월에 처음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 항상 한국 문화 알리기에 동분서주하는 하현봉 원장님의 반가운 환영을 받으며 성공적인 공연을 예감할 수 있었다. 전체 건물 중에 2개 층을 사용하는 공연장은 200석 규모의 강당 같은 장소였다. 구석구석 많은 공을 들인 공연장이었지만, 음향에는 살짝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사실 해외 공연을 갈 때면 국악기의 섬세한 음색을 가장 잘 살리는 전용마이크를 종종 가지고 다니곤 했다. 해외 공연에서 늘 문제를 일으키는 케이블 때문에 이번에도 혹시나 하고 준비해 갔는데, 만일 가져가지 않았다면 공연 자체가 불가능했을 뻔했다.
드디어 공연이 시작되었다. 연말, 그것도 다소 늦은 감이 있는 저녁 시간이었지만 200석 규모의 공연장에 240여 명의 관객이 들어오는 바람에 관람 의자가 모자라 보조석까지 놓고 관객을 맞았다.
첫 곡인 ‘수제천’을 연주할 때는 객석이 너무 조용해서 걱정이 되었지만, 간판 단원 권용미의 ‘파미르 수상곡’이 연주되자 우레 같은 박수가 터져 나왔다. 이어진 판소리 공연은 관객도 참여할 수 있는 무대였다. ‘판소리’의 원래 멋을 되살려 추임새를 가르쳐주고, 실제 공연 때 추임새를 넣도록 했는데 관객들은 무척 즐겁게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관객 중에는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인이 많았는데 교민으로 착각할 정도로“얼씨구”, “좋다”, “잘한다”가 연신 공연장에 퍼졌다.
‘다스름’의 공연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한다. 전통은 전통대로 보여주고, 전통을 바탕으로 만든 창작음악을 보여주는 가운데 한국 음악의 역사성과 창의성을 담아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공연 형식은 19년간 국내외 무대에서 경험했던 관객의 반응을 토대로 구성한 것이어서 대부분 성공적인 공연으로 이어진다. 상해 공연 역시 예 상대로 성공적이었다. 컴퓨터 게임 음악을 장단으로 엮은 ‘바람의 나라’나 드라마 O.S.T. ‘일지매’ 등을 연주할 때는 한류 열풍을 실감할 수 있었다.
상해의 공연은 참 편안하고 가족 같은 분위기 속에서 끝마칠 수 있었다. 상해는 비교적 한국 전통음악 공연이 많은 편이라고 한다. 그러나 비슷하면서도 다른, ‘다스름’만의 색깔을 보여준 공연이라는 점에서 그 어느 해외 공연보다도 값지고 보람 있는 송년음악회였다.
상해에서 다시 북경으로 향하는 날은 2008년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 왠지 한국에서 상해로 갈 때보다도 더 멀게 느껴졌지만, 한차례 공연을 끝냈기 때문인지 마음만큼은 여유로웠다. 북경에 도착하니 이미 날은 어두워져 있었고 연말이라는 부산스러움 속에서도 한가로운 느낌이 전해졌다.



1월 2일, 관객과 함께 깊은 감동을 나눈 북경 한국문화원 공연
북경 주재 한국문화원은 상해와는 다르게 건물 전체에 한국 문화 관련 기관들이 상주해 있었다. 급작스러운 공연을 흔쾌히 승낙한 박영대 원장님은 차분하게 우리를 맞이해주셨다. 공연장에서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음향 장비. 사전에 렌털을 부탁해 당일 현지의 음향 장비를 가져오기는 했지만,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음향 믹서가 너무 낡아서 도저히 쓸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일명 노이즈(noise)가 심해서 오히려 음악에 방해가 될 정도였다. 이럴 때를 예상해서 늘 마이크와 마이크 케이블을 예비로 준비하는데, 이번에도 결국 준비해간 케이블로 바꾸고, 믹서를 뜯어 하나하나 먼지를 닦아내 노이즈 제거에 성공했다. 안되면 되게 하라고 했던가?
북경의 한국문화원은 104석 규모의 작은 강당. 비록 작은 공연장이지만, 공연에서 공연장 크기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관객들을 얼마나 감동시키는가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신년 연휴를 보내는 중인데도 현지인과 교포 등 많은 관객이 찾아와 입석까지 하면서 최대한 입장했다. 상해 공연 때와 마찬가지로 북경 공연에서도 통역자가 공연 해설을 도왔다. 필자는 공연 해설을 위해 미리 준비한 원고를 제쳐두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시작해 공연장 분위기를 돋우고자 했다. 가끔 준비하지않은 멘트를 할 경우 통역자가 당황해 난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행동은 일종의 모험인 셈이었다. 통역자가 한국인일지라도 국악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히 더 그러하다. 그러나 ‘다스름’의 음악은 딱딱한 분위기보다는 가족음악회 성격이 강하고, 또 해외 공연은 한국 음악을 알리는 역할이 더 크기 때문에 연주 이상의 해설이 꼭 필요하다.
예상은 적중했다. 모험이긴 했지만 악기에 대한 간단한 상식 퀴즈와 일명 ‘찍기’문제 등을 통해 관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했고, 여성으로 구성된 단원 중에서 ‘결혼한 단원’을 맞히는 지극히 쉽고 재미있는 퀴즈를 내서 음반을 상품으로 주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관객들은 마음을 활짝 열고 음악에 귀를 기울였으며, 판소리 추임새는 “좋다”와 “하오”를 병행해 더 큰 반응을 이끌어냈다. 연주가 끝난 뒤에는 질문시간을 마련했다. 많은 관객이 악기에 대해 궁금한 것을 묻는 등 한국악기와 음악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공연을 관람한 북경의 대외경제무역대학교 주옥파(周玉波) 교수는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공연이었다”라는 평과 함께 “한국 문화예술인의 창의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라는 이야기를 해주었다. 또한 현지 교민들은 “그동안 열린 북경문화원 공연들도 좋았지만, 오늘은 정말 좋았다”라며 어린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두루 감상하기 편한 음악이었다고 평가했다.

하나의 음에 실린 한국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분명 ‘같은 음’을 사용해서 음악을 만드는데, 각 나라마다 아주 다른 음악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런 음악을 통해서 서로가 공감하고 감동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분명 그 ‘음’으로 ‘진실’을 이야기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2005년부터 해외 공연을 시작한 ‘다스름’은 이렇게 중국 공연을 통해서 한국 음악이 세계인을 열광시킬 수있고, 또 다른 한류 문화를 전파할 수 있다는 확신을 다시 한번 가질 수 있었다.